임신과 출산은 축복이지만, 직장인의 경우 출산휴가를 어떻게 신청하고 어떤 서류가 필요한지 몰라서 막막함을 겪는 경우가 많습니다.
특히 중소기업이나 인사 시스템이 명확하지 않은 곳은 더욱 그렇죠.
출산휴가 신청서 양식, 작성법, 신청 시기, 유급 여부 등을 명확히 알아두면 육아의 시작을 더 든든하게 준비할 수 있습니다.
오늘은 출산휴가 신청서 작성법부터 실전 예시, 유의사항까지 초보 직장인도 쉽게 따라할 수 있도록 정리해드릴게요.
출산휴가란?
출산휴가는 여성근로자가 출산을 앞두고 또는 출산 후에 사용할 수 있는 법정 유급 휴가입니다.
근로기준법 제74조에 따라 모든 사업장은 반드시 이를 보장해야 합니다.
- ✅ 기간: 총 90일 (쌍둥이 이상은 120일)
- ✅ 구성: 출산 전 최대 45일 + 출산 후 최소 45일
- ✅ 급여: 통상임금 기준 90일 중 60일은 회사 부담, 30일은 고용보험에서 지원
- ✅ 신청 대상: 고용보험에 가입한 모든 임신 여성 근로자
출산휴가 신청 절차
- ① 출산예정일 확인
산부인과에서 발급한 임신진단서 또는 출산예정일 증명서를 받습니다. - ② 회사에 출산휴가 신청서 제출
회사 지정 양식 또는 자유 양식으로 출산휴가 신청서를 작성합니다. - ③ 인사팀 승인 및 서류 보관
인사팀에서 서류 확인 후 승인 및 인사 시스템 등록 - ④ 출산휴가 시작 및 급여 신청
출산 후, 고용보험 사이트에서 출산휴가급여를 별도로 신청해야 합니다.
👉 고용보험 신청: https://www.ei.go.kr
출산휴가 신청서 양식 예시
항목 | 작성 내용 예시 |
---|---|
신청인 | 홍길동 |
부서 | 경영지원팀 |
직책 | 사원 |
출산예정일 | 2025년 9월 15일 |
출산휴가 시작일 | 2025년 8월 1일 |
출산휴가 종료일 | 2025년 10월 29일 |
휴가 기간 | 총 90일 |
첨부서류 | 출산예정일 증명서 1부 |
신청일 | 2025년 7월 15일 |
서명 | 홍길동 (서명 또는 날인) |
✅ 회사마다 양식이 다를 수 있으니 인사팀에 양식을 먼저 요청하세요.
출산휴가 신청 시기 및 팁
- ✔️ 출산휴가는 출산예정일 기준 최소 30일 전 신청 권장
- ✔️ 출산예정일이 변경될 경우 즉시 회사에 알려야 함
- ✔️ 출산 전 45일을 모두 사용하지 않아도, 출산 후 기간을 연장 가능
- ✔️ 쌍둥이 이상 출산 시 120일 신청 가능 (출산 후 60일 보장)
출산휴가급여는 따로 신청해야 할까?
네, 맞습니다. 출산휴가급여는 고용보험에서 별도로 신청해야 하며, 회사 급여와 별개로 처리됩니다.
👉 신청 경로: 고용보험 홈페이지 접속 → 개인서비스 → 출산전후휴가급여 신청
📝 준비서류:
- 출산증명서 또는 출생증명서
- 출산휴가 확인서 (회사 작성)
- 신분증 사본
- 통장 사본
💡 신청은 출산휴가 종료일 다음날부터 1년 이내 가능하니, 기간을 꼭 체크하세요!
자주 묻는 질문 FAQ
Q1. 출산 전날까지 일하고, 이후에만 출산휴가를 쓸 수 있나요?
A. 네, 가능합니다. 출산 후 90일 전부 사용도 가능합니다. 단, 최소 45일은 출산 후에 사용해야 합니다.
Q2. 남성도 출산휴가 신청 가능한가요?
A. 아니요. 출산휴가는 여성 전용입니다. 남성은 별도로 배우자 출산휴가 (10일)를 신청할 수 있습니다.
Q3. 계약직, 프리랜서도 출산휴가를 받을 수 있나요?
A. 고용보험에 180일 이상 가입된 경우라면 비정규직, 계약직도 동일하게 출산휴가 및 급여 수령 가능합니다.
Q4. 출산휴가 중 연차는 어떻게 되나요?
A. 출산휴가는 연차와 별개로 부여되며, 사용 기간 동안 연차는 발생하지 않습니다.
마무리
출산은 소중한 일이지만, 회사와의 조율이 쉽지 않아서 출산휴가를 망설이는 분들도 많습니다.
그러나 출산휴가는 법적으로 보장된 권리이며, 정당하게 누릴 수 있는 제도입니다.
이 글에서 알려드린 양식 예시와 신청 절차만 잘 따라가시면 누구나 출산휴가를 안정적으로 준비할 수 있습니다.
모든 예비 엄마들의 건강한 출산과 회복을 응원합니다! 😊